How I Met Your Mother 시즌1 2화에서는 테드가 로빈을 다시 만나기 위해 무려 세 번의 파티를 여는 이야기가 펼쳐집니다. 이 과정에서 우리가 일상 대화에서 자주 마주치는 영어 표현들이 다수 등장합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특히 우연 표현, 관계대명사, 조동사에 중점을 두고 학습하겠습니다.
우연을 표현하는 자연스러운 영어 문장
Calling is not casual. I just got to bump into her somewhere.
전화하는 건 캐주얼하지 않아. 그냥 어딘가에서 우연히 마주쳐야 해.
이 표현에서 bump into는 "우연히 마주치다"라는 뜻으로, 실생활에서 매우 자주 사용되는 표현입니다.
비슷한 표현
- run into someone – ~와 우연히 마주치다
- happen to see someone – 우연히 보다
- chance upon someone – (격식) ~와 우연히 마주치다
What are the odds?
그럴 확률이 얼마나 되겠어? / 말도 안 돼!
감탄사처럼 쓰이며, 놀라움이나 불가능에 가까운 상황을 표현할 때 사용합니다.
예시: What are the odds of meeting you here? → 여기서 널 만날 확률이 얼마나 되겠어?
관계대명사로 감정을 풍부하게 전달하는 방법
I'm jeopardizing my law career so you can throw not one, not two, but three parties for some girl that you just met who's probably not even going to show up!
나는 내 법률 경력을 위험에 빠뜨리고 있어. 너는 막 만난, 아마 오지도 않을 여자애를 위해 하나도 아니고 둘도 아니고 세 개의 파티를 열기 위해서 말이야!
이 문장은 관계대명사 that과 who를 통해 설명을 덧붙이며 화자의 감정을 강조합니다.
- that you just met – 네가 막 만난
- who’s probably not even going to show up – 아마 나타나지도 않을
복잡한 감정을 표현할 때 관계대명사를 길게 이어 쓰는 것은 자연스러운 원어민 표현 방식입니다.
조동사(might, could, would)의 미묘한 뉘앙스 차이
She’s probably not even going to show up.
그녀는 아마도 오지 않을 거야.
probably는 가능성이 높다는 뉘앙스를 주며, going to는 예정된 일이나 강한 예측을 의미합니다.
다른 표현과 비교해보면 조동사의 차이가 잘 드러납니다.
- I might call her later.
나중에 그녀에게 전화할지도 몰라. - She could be busy.
그녀는 바쁠 수도 있어. - I would go if I were invited.
초대받았다면 갔을 거야.
조동사 요약
- might – 약한 가능성
- could – ~일 수도 있음
- would – 가정, 조건을 전제로 한 상상
실생활에서 유용한 추가 표현
So, a week went by, and I decided not to call her.
일주일이 지났고, 나는 그녀에게 전화하지 않기로 했어.
Since when do you guys know each other?
너희 언제부터 서로 알았어?
How sweet of you to call it news.
그걸 뉴스라고 하다니, 정말 친절하네. (빈정거리는 말투)
What does Carlos have that I don't?
칼로스가 나보다 나은 게 뭐야?
I'm not going to force sports on them unless they're interested.
그들이 원하지 않으면 스포츠를 강요하지 않을 거야.
I'm not sure I like her.
그녀를 좋아하는지 잘 모르겠어.
위 문장들은 일상 영어 회화에서 매우 자주 쓰이며, 감정 표현이나 질문 형태 익히기에 효과적입니다.
마무리하며
시즌1 에피소드2에서는 테드의 낭만적 시도와 친구들의 반응을 통해 다양한 영어 표현을 접할 수 있습니다.
- 우연 표현: bump into, what are the odds
- 감정 강조: 관계대명사 사용법
- 조동사의 뉘앙스: might, could, would
이러한 표현들을 반복해서 익히고, 직접 문장을 만들어보며 연습한다면 실전 회화에서도 자연스럽게 사용할 수 있습니다. 다음 회차에서도 유익한 문장과 표현으로 학습을 이어가겠습니다.